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추구집 7 ,사자소학붕우편,득롱망촉, 명심보감.유카,우주목(숯에)

추구집/ 추구는 우리 선조들이 애송한 詩시의 글귀를 정선하여 뽑아 놓은 다섯 글자로 된 아름다운 시이다

한학 교양서로 한뭄을 익힘은 물론 우주 삼라만상에서부터 자연의 오묘함을 일깨워 주었다

일상 생활에 스며있는 지혜오 슬기를 한 구 한 구 아름답게 꾸며 누구나 즐거운 마음으로 가볍게 애송할 수 있는

초 학서 初學書 이다, 한학을 이해하고 즐기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추구집 지도7)

추구집 지도7)  글쓴이 지환 함 두빈

춘수만사택 春水滿四澤 봄 물은 사방의 못에 가득차고

하운다기봉 夏雲多奇峰  여름의 구름은 기이한 봉우리가 많다

추월양명휘 秋月揚明輝  가을에 뜨는달은 밝은 빛을 비추고

동령수고송 冬嶺秀孤松  겨울에 산마루엔 소나무 한 구루 서있네

 

  사자소학은 //우리가 반드시 배워서 지켜야 할 생활규범과 어른을 공경하는 법 등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가르치는 생활철학의 글이다. 옛 선조들이 서당에서 공부할 때 처음 배우던 것으로 모든 구절이 넉자로 정리된 글로서 한문을 익힘은 물론, 어른과 부... 문

사자소학 붕우편 人之在世(인지재세) 不可無友(불가무우) 글쓴이 지환 함두빈

人之在世(인지재세)에 : 사람이 세상에 있으면서

不可無友(불가무우)니 : 친구가 없을 수 없으니,

 득롱망촉(得隴望蜀)  글쓴이 지환 함 두빈

득롱망촉(得隴望蜀)  탐욕하여 만족할 줄 모름, 인간의 욕심은 끝이없음, 말타면 경마잡하고 싶다
후한서 잠팽전에 나오는 이야기다.
건무 8년 잠팽은 군사를 거느리고 광무제를 따라 천수를 점령한 다음 외효를 서성에서 포위했다. 이때 공손술은 외효를 구원하기 위해 부장 이육을 시켜 천수에서 서쪽에 있는 상규성을 지키게 했다. 그래서 광무제는 다시 군대를 나누어 이를 포위하게 했으나 자신은 일단 낙양으로 돌아가기로 하고 떠날 때 잠팽이에게 편지를 보냈다.
兩城若下 便可將兵南蜀虜 人若不知足 旣不隴得望蜀 每一發兵 頭髮爲白
두성이 만일 함락되거든 공 군사를 거느리고 남쪽으로 촉나라 오랑캐를 쳐라. 사람은 만족할 줄을 모르기 때문에 고통스러운 것이다. 이미룡을 평정하였는데 촉을 바라게 되는구나. 매양 한 번 군사를 출발시킬 때마다 그로 인해 머리털이 희어진다. 하고 명령과 함께 자신의 감회를 이야기했다.
다시말하면 장래를 위해 적군의 근거지를 완전히 정복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고서도 그것이 인간의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자기반성을 하며, 그로 인해 많은 군사들의 고통은 물론 마침내는 생명까지 잃게 될 것을 생각하면 그때마다 머리털이 하나하나 희어지는 것만 같다는 절실한 심정을 말한 것이다.
다음은 조조의 입에서 나온 이야기다.
촉나라 유비와 오나라 손권이 대립하고 있는 틈을 타서 위나라 조조는 한중으로 쳐들어왔다. 이때 조조의 부하였던 사마의가 조조를 보고, '이 기회에 익주의 유비를 치면 틀림 없이 우리가 승리를 거두게 될 것입니다.' 하고 의견을 말했다.
人若無足 旣得隴得望蜀旣
그러나 조조는 머리를 옆으로 저으며, '사람은 만족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괴로운 것이다. 이미 룡을 얻었는데 다시 촉을 바랄 수야 있겠는냐' 하고는 그의 의견을 듣지 않았다.
이 두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득롱망촉(得隴望蜀)이다.
득롱망촉(得隴望蜀)이란 한 가지 소원을 이룬 다음, 또다시 다른 소원을 이루고자함을 이르는 말로,
탐욕하여 만족할 줄 모름을 비유하는 말이다.

 

경행록에 운  /명심보감  글쓴이 지환 함 두빈

명조지사 明朝之事 를  박모불가필 이요,

박모지사 薄暮之事 를  포시 불가필 이라 (**시포를 포시로정정)

 

경행록에 이르기를

내일 아침의 일을 저녁 때에 가히 알지 못할것이며.

저녁 때의 일을 오후에 네시경에 가히 알지 못할 것이니라. 

  유카

거실   숮에   우주목 ㄱ접란

.

우주목

 행복다육 
학명
Crassula portulacea monstrosa 'Gollum'
과명
돌나물과
관리수준
보통
관리요구
약간 돌봄
생장형
가을~봄 성장 (겨울생장형, 여름에 휴면)
생장속도
보통
최저온도
5°C
광요구도
직사광선을 피함
배치 장소
발코니 내측까지 이용 가능함, 창측의 형태를 유지하나 붉은 빛은 적어지고 전반적으로 녹색을 띰
물주기
한 달에 두 번 정도 흠뻑 전면 관수 여름 장마철과 겨울에는 단수
번식
잎꽂이, 줄기꽂이
원산지
남아프리카
식물 분류
크라슐라(Crassula)속 (돌나물과)
형태 분류
불규칙형
엽색 변화
빛을 충분히 받으면 원통형의 잎 끝이 붉게 물듦
늦은 봄부터 여름까지 분홍색 꽃이 핌
뿌리형태
가는 뿌리
[네이버 지식백과] 우주목 (국가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분류 설명

크라슐라 속은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다육식물이다.

대부분 남아프리카가 자생지이나 세계 각 지에 소수가 분포되어 있다.

크라슐라 속의 품종들은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자랑한다.

특성

잎은 끝이 빨판 모양이며 원통형 줄기는 약한 편이고 추위에 약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주목 (국가농업기술포털 "농사로")

[출처] 우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