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자소학 효행편,양약고어구,거언미래언미, 백복,마삭줄수고1m50cm

사자소학 효행 편
사자소학은 우리가 반드시 배워서 지켜야 할 생활규범과 어른을 공경하는 법 등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가르치는 생활철학의 글이다. 옛 선조들이 서당에서 공부할 때 처음 배우던 것으로 모든 구절이 넉자로 정리된 글로서 한문을 익힘은 물론, 어른과 부... 문화콘텐츠 용어사전

효행편) 경신절룡 敬信節用  애민여자 愛民如子     글쓴이 지환 함두빈시년팔십세

敬信節用  경신절용-- 조심해서 미덥게 일하며 재물을 아껴써서

愛民如子  애민여자   백성을 사랑함은 자식과 같게하라

 


良藥 苦於口  而利於病 忠言  易於耳  而 利於行/孔子家言  글쓴이 지환 함 두빈 시년팔십세
양약 고어구  이이어병 충언  이어이   이이 어 행 良藥 苦於口  而利於病 忠言  易於耳  而 利於行


좋은 약은 입에쓰나 병에는 이롭고
충언은 귀에 거슬리나 행동에는 이롭다
좋은 약이 입에 쓰듯, 바르게 충고하는 말은 듣기에는 
 거북하나 행동을 위해서는 좋다는뜻.


●의미: 人體(인체)에 유익한 藥(약)은 먹기에 쓰고, 옳은 행동을 하라고 忠告(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기 마련이고, 사람에겐 누구나 長·短點(장·단점)이 있고, 强·弱

點(강·약점)이 있으며, 하물며 神이 아닌 이상 잘못을 할 수도 있는데, 단점이나 약

점, 또는 잘못을 지적하면 자신을 돌아보며 개선하거나 보완하려 하지 않고 곧바로

성을 내거나 화를 내며 “네가 뭔데?” 하는 식으로 나오는 게 보통이다.

그래서 바른 길로 가지 않을 때 쓴 소리를 하여 바로잡아주는 친구는 훌륭하고,

그런 친구를 옆에 두고 그것을 깨닫고 고치는 사람은 더 훌륭하다는 말이

나왔는지도 모르겠다.

역사적으로 국가의 대업이나 기업경영이나 일상생활에서나 한마디 충고가 良藥

(양약)이 되고, 그 충고를 잘 들은 사람은 훌륭한 지도자, 훌륭한 기업가, 훌륭한

사람으로 남을 수 있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수없이 보아오지 않았는가?

요컨대, 유연한 사고와 태도, 열린 마음으로 그 누구로부터의 충고

- 군자는 심지어 광부(狂夫)의 말이라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

라도 듣고 수용하고 실천한다면 보다 나은 상태로 거듭 날 수 있으리라.

◆王肅(왕숙, 195~256년)

중국 삼국시대 위(魏)의 학자이자 정치가, 자는 자옹(子雍), 『孔子家語(공자가어)』편찬

 

 


거언미   래언미去言美 來言美/俗談   글쓴이 지환 함 두빈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다
말조심하여 함부로 말하지 말라우리 속담에
"말 한마디에 천냥빚을 갚는다."라는 말이 있듯이, 말은 그사람의 인품이요 능력이라 하지요.

요즘 코로나로 인해 모두들 힘들고 어렵게 살아가고 있지요.
이런 때 일수록 말을 가려쓰고, 한 마디 말도 조심해야 하겠지요.

"힘 내세요!"라는 말이 있어요.
그 말을 들을때 사람들은 정말 힘이 솟는다고 하네요.
또 "용기를 잃지 마세요!"라는 말이 있지요. 그말을 들으면 정말 용기가 생긴다고 하지요.
또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들으면 사람들은 정말 따사롭고 푸근함을 느낀다 하네요.
또 "아름다워요."라는 말을 들은 사람들은 설레이고 기뻐진다 하지요.
그리고 "사랑해요!"라는 말도 있지요.
그말은 아무리 많이 들어도 싫지 않다고 하네요.

그런데 "용서합니다."라는 말을 들으면 몹시 감격한다고 하는데 한번 생각해 보세요.
과연 "진심으로 용서합니다."라는 말을 단 한번이라도 해본 적이 있는지? 이런 말이 필요할때는 서슴없이 말씀하시기 바래요.
용서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지요.

우리가 흔히 쓰는 말 중에
여보(如寶)라는 말은 '보배와 같다'는 말이고,
당신(當身)은 '내 몸과 같다'는 말이라 하네요.
마누라는 '마주보고 누워라'라는 말의 준말이고
여편네는 '옆에 있네'에서 왔다고 하는군요.

옛말에 거언미 래언미(去言美 來言美)라 했어요.
이것은 '가는말이 고와야 오는말이 곱다.'는 말이지요.
말이 아름다운 사람은 심성(心性)도 곱다고 했어요.
아름다운 말의 향기는 유모어와 같아서 우리들의 사회와 주위를 즐겁고 아름답게 꾸밀 수 있어요

복 福 글쓴이 지환 함두빈 시년 팔십세복(福 )자가 100개  들어간 글씨를 백복도라고 함.

 

행복이 소복 소복

돈 많은 사람은 건강이 복

건강한 사람은 화목이  복

화목한 사람은 자식이  복

자식이 있는 사람은 무자식이 복

오늘은 어제보다 낫씁니다

오늘도 소문만복래 하면서

건강하고 행복한 오늘이 되세요

백복도는
福자가 100개가 들어 간 것이라 하여
백복도라도 부릅니다.
이 백복도는
금으로 쓴 글이며 종이는 감지입니다.

 

                                대물 마삭줄 바람개비꽃   수고1m50cm,  옥상에 바람때문에 밧줄로 맴,